4세대 실손보험 보험료 차등제 총정리

2024년 7월 부터는 4세대 실손보험 보험료 차등제가 실시된다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이 어떻게 달라지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자신이 가입한 실손보험이 몇세대 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손보험

흔히 실비보험이라고 이야기하는 실손보험은 질병 혹은 상해로 치료시 보험가입자에게 발생한 실제 의료비를 보상하는 보험 상품 입니다.

병원에 다녀온 후 진료비 계산서를 확인하면 급여 항목과 비급여 항목으로 나눠서 볼 수 있는데요 다시 급여항목은 본인부담금과 공단부담금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실손보험은 본인부담금과 비급여 항목을 보장한도 안에서 자기부담금을 제외한 나머지를 보장해 줌으로써 의료비 부담을 낮추는데 기여하고 있는 상품 입니다.

세대별 가입시기

실손보험은 언제 가입했느냐에 따라서 세대를 나눠볼 수가 있습니다. 만약 자신이 가입한 신손보험의 세대를 모른다면 가입시기로 유추해볼 수 있죠

  • 1세대 2009년 9월 이전 가입
  • 2세대 2009년 10월 부터 2017년 3월 가입
  • 3세대 2017년 4월 부터 2021년 6월 가입
  • 4세대 2021년 7월 이후 가입

오늘 이야기할 신손보험 보허묠 차등제는 4세대 실손보험을 가입한 분들에게 해당되는 내용이니 2021년 7월 이후 가입하셨다면 꼭 확인 하세요

4세대 실손보험

2021년 7월 이후 실손보험에 가입했다면 4세대 실손보험 대상자로 2024년 7월 부터는 보험료 차등제가 적용 됩니다.

4세대 신손보험의 특징은 비급여 진료를 얼마나 이용하느냐에 따라 보험료가 올라가는 구조인데요 병원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에게는 분리한 보험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해당 내용이 적용되지 않았지만 출시 후 3년이 지난 지금 충분한 통계를 확보 후 결국 4세대 실손보험 보험료 차등제가 실시 됩니다.

보험료 차등제

보험료 차등제의 핵심은 1년 동안 얼마나 비급여 진료를 받았느냐에 따라 보험료가 할증 또는 할인 될 수 있는데요 1등급 부터 5등급 까지 등급을 적용하게 됩니다.

등급할인/할증 비율비급여 진료 이용 금액대상 건수 비율
1등급5% 할인없음62.1%
2등급기존 유지100만원 미만36.6%
3등급100% 할증100만원 ~ 150만원1.3%
4등급200% 할증150만원 ~ 300만원
5등급300% 할증300만원 이상

3년간 수집한 통계에 의하면 1등급 대상자는 62.1%로 추정되고 2등급은 36.6%, 3 ~ 5등급에 해당하는 가입자는 1.3%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의 보험료가 기존과 동일하거나 5% 할인을 받을 수 있다는 통계가 나왔는데요

할인, 할증 등급은 보험료 갱신 직후 1년간만 유지되며 1년 후에는 다시 원점에서 비급여 이용량을 계산한다는 점 참고 하세요

예외 적용

이번 실손보험료 차등제에 예외 적용 되는 분들도 계신데요 중증질환이나 장기요양이 필요한 분들은 제외 됩니다.

이는 의료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함인데요 산정특례대상질환으로 인한 의료비, 장기요양등급 1,2 등급 판정자는 이번 4세대 실손보험 보험료 차등제 할인, 할증 대상에서 제외 됩니다.

조회 방법

그렇다면 내가 1년 동안 사용한 비급여 이용량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텐데요 이는 곧 각 보험사에서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각 보험사는 1년 동안 사용한 비급여 보험금을 한번에 조회할 수 있도록 개별 홈페이지 또는 보험회사의 앱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년에 예상되는 보험료 할인, 할증 등급을 미리 확인할 수 있고 남은 비급여 보험금과 할인, 할증 제외 신청을 위한 필요서류 까지 편리하게 실손보험을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신이 4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라면 7월 이후 부터는 비급여 보험금 얼마나 사용했는지 여부를 조회하여 보험료 할인, 할증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로 스크롤